맨위로가기

후치경 방출 파찰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치경 방출 파찰음은 혀끝을 잇몸 뒷부분에 대고 공기를 막았다가 터뜨리면서 마찰을 일으켜 내는 자음이다. 성대를 울리지 않고, 입으로만 공기를 내보내며, 혀의 중앙으로 공기를 내보내고 폐에서 나오는 공기를 강하게 터뜨려 소리를 낸다. 암하라어, 케추아어족, 조지아어, 오로모어 등 여러 언어에서 사용되며, 아디게어, 아바르어, 체첸어, 하이더어, 카바르딘어, 라즈어, 메그렐리아어, 스반어, 틀링깃어 등 다양한 언어의 단어에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치경음 - 치경 비음
    치경 비음(/n/)은 혀 앞쪽이 잇몸에 닿아 코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유성 비음으로, 혀의 접촉 위치에 따라 다양한 변종이 존재하며, 한국어를 포함한 많은 언어에서 사용된다.
  • 후치경음 - 무성 후치경 마찰음
    혀를 이와 잇몸 사이에 넣고 내는 무성 후치경 마찰음은 영어의 "sh" 발음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국제 음성 기호로 [ʃ]로 표기된다.
  • 방출음 - 양순 방출음
    양순 방출음은 아랫입술과 윗입술을 사용하여 후두를 상승시켜 기류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내는 무성 구강 방출음으로, 일부 언어에서 드물게 나타난다.
  • 방출음 - 치경 방출 마찰음
    치경 방출 마찰음은 혀끝과 윗니 뒤쪽 잇몸 사이에서 마찰을 일으켜 내는 무성음으로, 후두를 상승시켜 기류를 생성하는 방출음의 특징을 가지며, 여러 언어에서 나타난다.
  • 파찰음 - 무성 치경 파찰음
    무성 치경 파찰음은 혀 앞부분을 치경릉에 대어 내는 소리로, 국제 음성 기호로 t͡s 또는 t͜s로 표기하며 독일어, 러시아어, 한국어, 표준 중국어 등에서 사용된다.
  • 파찰음 - 유성 후치경 파찰음
    유성 후치경 파찰음은 혀끝이나 혀 앞부분을 치경융기 뒤에 대고 내는 유성 파찰음으로, 국제 음성 기호로는 d͡ʒ로 표기되며, 영어의 "judgement", 이탈리아어의 "gemma", 페르시아어의 "ج" 등 다양한 언어에서 여러 가지 문자로 표현된다.
후치경 방출 파찰음
음성학적 정보
IPA 기호t͡ʃʼ
X-SAMPA 기호ts'
특징
조음 방법파찰음
조음 위치후치경음
발성방출음
유/무성음무성음
기식무기음

2. 특징


  • 후치경에서 조음된다.
  • 조음 방법은 파찰음에 속한다.
  • 발성 유형은 무성음이다.
  • 기류 메커니즘은 방출음이다.
  • 공기가 입으로만 나가는 구강음이다.
  • 공기가 혀의 중앙으로 흐르는 중앙 조음이다.

2. 1. 조음 방법

후치경에서 조음되는 파찰음이다. 혀끝이나 혓날을 잇몸 바로 뒤에 대어 공기의 흐름을 완전히 막았다가, 그 자리를 유지한 채 천천히 터뜨리면서 마찰을 일으켜 소리를 낸다. 조음 시 성대의 진동이 없는 무성음이며, 공기가 비강으로 나가지 않고 구강으로만 빠져나가는 구강음이다. 또한 공기가 혀의 양 옆이 아닌 중앙으로 흐르는 중앙 조음이며, 성문을 닫았다가 터뜨리며 강한 기류를 생성하는 방출음이다.

3. 사용 언어

후치경 방출 파찰음은 암하라어, 케추아어족, 조지아어, 오로모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발견되는 음소이다.

3. 1. 주요 사용 언어



언어방언/표기단어의미비고
아디게어кӏакоady'짧은'
암하라어ጨረቃamh''
아르메니아어예레반 방언[1]ճյուղhye'가지'다른 동부 방언에서 무성 파찰음 에 해당한다.
아바르어ворчӀамиava'안녕'
아이마라어ch'uspaaymchuspa'
체첸어чӏараche/ç̇ara'물고기'
조지아어ჭაkat/ch’a'우물'명사, 부사가 아님
하이더어jjabakohai'바위너구리'
하우사어tshanyahau'귀뚜라미'서부 하우사 방언에서만 발견됨
카바르딘어кӏэkbd'꼬리'
케레스어shchʼísạ'여섯'
라즈어ჭრაჭუნირიlzz/ç̌raç̌uniri'삑삑거리는 소리'
루쇼트시드어č̓uʔlut'하나'
메그렐리아어ჭკიჭკიტი아xmf/čʼḳičʼḳiṭiɑ'개미'
오세트어쿠다이라그 방언Чъребаoss'츠힌발리'
케추아어ch'umpique'갈색'
스반어լենჭყsva/lenčʼqʼ'늪'
틀링깃어ch'eedtli'오리'


3. 2. 기타 사용 언어

wikitext

} || [t͡ʃʼaːkʷa] || '짧은' ||

|-

| 암하라어 || || '''ጨ'''ረቃ|amh || [t͡ʃʼərəkʼa] || '' ||

|-

| 아르메니아어 || 예레반 방언[1] || '''ճ'''յուղ|hye || [t͡ʃʼiʊ̯ʁ] || '가지' || 다른 동부 방언에서 무성 파찰음 [t͡ʃ⁼]에 해당합니다.

|-

| 아바르어 || || вор'''чӀ'''ами|ava || [wort͡ʃʼami] || '안녕' ||

|-

| 아이마라어 || || '''chʼ'''uspa|aym || [t͡ʃʼuspa] || 'ch'uspa' ||

|-

| 체첸어 || || '''чӏ'''ара / '''ç̇'''ara|che || [t͡ʃʼɑːrə] || '물고기' ||

|-

| 조지아어 || || '''ჭ'''ა / '''ch’'''a|kat || [t͡ʃʼɑ] || '우물' || 명사, 부사가 아님

|-

| 하이더어 || || '''jj'''abako|hai || [t͡ʃʼabako] || '바위너구리' ||

|-

| 하우사어 || || '''tsh'''anya|hau || [t͡ʃʼanja] || '귀뚜라미' || 서부 하우사 방언에서만 발견됨

|-

| 카바르딘어 || || '''кӏ'''э|kbd || [t͡ʃʼa] || '꼬리' ||

|-

| 케레스어 || || sh'''chʼ'''ísạ || [ʃtʃʼísḁ] || '여섯' ||

|-

| 라즈어 || || '''ჭ'''რა'''ჭ'''უნირი / '''ç̌'''ra'''ç̌'''uniri || [t͡ʃʼrat͡ʃʼuniri] || '삑삑거리는 소리' ||

|-

| 루쇼트시드어 || || '''č̓'''uʔ || [t͡ʃʼʉʔ] || '하나' ||

|-

| 메그렐리아어 || || '''ჭ'''კი'''ჭ'''კიტი아 / '''čʼ'''ḳi'''čʼ'''ḳiṭiɑ || [t͡ʃʼkʼit͡ʃʼkʼitʼia] || '개미' ||

|-

| 오세트어 || 쿠다이라그 || '''Чъ'''реба|oss || [ˈt͡ʃʼɾebä] || '츠힌발리' ||

|-

| 케추아어 || || '''chʼ'''umpi|que || [t͡ʃʼʊmpɪ] || '갈색' ||

|-

| 스반어 || || լեն'''ჭ'''ყ / len'''čʼ'''qʼ || [lɛnt͡ʃʼqʼ] || '늪' ||

|-

| 틀링깃어 || || '''chʼ'''eed|tli || [t͡ʃʼit] || '오리' ||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언어방언단어IPA의미비고
아디게어{{lang|ady|кӏако|}